본문 바로가기
리뷰

누리호2차 발사 성공 의의 세계7대 우주강국

by 성장로라 2022. 6. 22.
반응형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에 기쁜 소식이 있었죠?
기상과 결함으로 인해몇 차례 연기 끝에 2022년 6월 21일 누리호가 날았습니다.
전남 고성 나로우주센터에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발사가 성공했습니다.
세계에서 7번째 자체 우수발사체 기술을 확보한 국가의 국민이라는 것이 참 자랑스럽습니다.

누리호 발사 진행과정, 누리호 구성 및 의의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누리호 발사 진행과정

2010년 한국형 발사체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으며 2번의 위기를 극복하고 2016년 5월 3일 75톤급 엔진 시험이 첫 성공을 합니다. 4년 후인 2018년 11월 28일 누리호의 주 엔진인 75톤급 액체엔진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누리호 시험발사체 발사가 성공합니다. 2021년 10월 21일 누리호가 1차 발사되었으나 3단 엔진 연소가 빨리 종료되어 궤도 진입에 실패 하였습니다.

누리호 구성

누리호는 총 3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단 모두 액체산소, 케로신 탱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1단은 75톤 엔진 4기, 2단은 75톤 엔진 1기, 3단은 7톤 엔진 1기로 엔진의 종류가 다릅니다.
높이는 47.2m이고 직경은 3.5m이며 충 중량은 200톤, 1.5톤급 실용위성 저궤도(600~800km) 투입 가능한 수송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누리호 발사성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국내 우주 수송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독자 개발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2차 발사성공했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누리호는 발사 후 비행 과정이 모두 정상적으로 진행되었고
누리호 1,2,3단 엔진 모두 정상적인 연소를 시작으로 누리호에 탑재된 성능검증위성 분리까지 성공하였으며
남극 세종기지에서 성능검증위성의 초기 교신을 성공 내일 오전 3시부터 대전 향우연 지상국과의 양방향 교신을 실시하여 위성의 상태를 세부적으로 확인해 나갈 예정이라고 합니다.

 

누리호 발사 성공 의의

우리나라가 독자적인 우주 운송 능력을 가지고 자주적인 국가 우주 개발 역량을 온전히 갖추게 되었다는 점입니다.

 

인공위성 발사체 보유국

미국, 이스라엘, 중국, 유럽연합(EU), 일본, 인도이며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 1톤급 실용 위성을 우주로 보낼 수 있는 발사체 기술을 보유한 7번째 우주강국이 되었습니다.


누리호 개발 프로젝트는 개발 초기부터 국내 기업들의 기술과 인력, 인프라 등을 적극 활용했다고 합니다.

누리호는 앞으로 4차례 더 발사 예정이며, 기술의 신뢰성을 높이고 발사체 기술을 민간에 이전해 국내 우수 산업체를 육성 지원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오랜 시간 동안 역경을 이겨내고 발사 성공을 위해 헌신하신 수많은 과학기술인과 관계자 여러분 고생하셨습니다.

반응형

댓글